맨위로가기

뽀뽀뽀 아이 조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뽀뽀뽀 아이 조아》는 1981년부터 2013년까지 MBC TV에서 방송된 대한민국의 어린이 프로그램이다. 초대 뽀미언니 왕영은을 비롯한 다양한 출연진과 캐릭터들로 인기를 얻었으며, 1990년대에는 시청률 경쟁 심화로 인해 방송 시간대 변경 등의 변화를 겪었다. 2000년대 들어 케이블TV와 인터넷의 발달로 시청률이 하락하여, 2007년 프로그램 제목을 변경했으나, 2013년 8월 7일 종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화방송의 어린이 텔레비전 프로그램 - MBC 창작동요제
    MBC 창작동요제는 1983년부터 2010년까지 매년 개최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동요 경연대회로, 다양한 주제와 참신한 동요들이 출품되어 한국 동요의 역사와 사회상을 보여주며, 대학가요제, 강변가요제와 비견될 만큼 높은 인기를 얻어 수많은 유명 인사들이 참여하여 위상을 높였다.
  • 문화방송의 어린이 텔레비전 프로그램 - 서덕출 창작동요제
    서덕출 창작동요제는 울산광역시에서 매년 개최되는 대한민국의 창작 동요 경연대회로, 대상 수상곡을 포함한 역대 수상곡 정보가 기록되며, 심사를 통해 다양한 수상작을 선정한다.
  • 1981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KBS 뉴스 930
    KBS 뉴스 930은 KBS 1TV에서 평일 오전 9시 30분에 방송되는 주부 대상 생활 밀착형 종합뉴스 프로그램으로, 2024년 5월 20일부터 30분간 방송되며 긴급 뉴스 시 KBS 뉴스특보 등으로 편성된다.
  • 1981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나리집
    나리집은 김혜자, 김상순, 박근형 등이 출연하고 혜은이가 동명의 주제가를 부른 KBS 1TV 드라마이다.
  • 대한민국의 어린이 텔레비전 프로그램 - MBC 창작동요제
    MBC 창작동요제는 1983년부터 2010년까지 매년 개최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동요 경연대회로, 다양한 주제와 참신한 동요들이 출품되어 한국 동요의 역사와 사회상을 보여주며, 대학가요제, 강변가요제와 비견될 만큼 높은 인기를 얻어 수많은 유명 인사들이 참여하여 위상을 높였다.
  • 대한민국의 어린이 텔레비전 프로그램 - KBS 창작동요대회
    KBS 창작동요대회는 1989년 시작되어 중단과 재개를 거쳐 일반인 참여, 노랫말 공모 등의 변화를 겪으며 '가을 들길' 등 히트곡을 배출, 한국 동요 발전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동요 창작 경연대회이다.
뽀뽀뽀 아이 조아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방송 정보
제작진
기타

2. 역사

1981년 5월 25일, MBC에서 첫 방송을 시작했다. 초대 뽀미언니 왕영은을 비롯하여, 뽀식이 이용식, 뽀병이 김병조 등 다양한 캐릭터들이 등장하여 인기를 얻었다. 초기에는 짧은 분량으로 방송되었으나, 점차 방송 시간이 늘어나고 다양한 코너들이 추가되었다.

1990년대에도 뽀뽀뽀는 꾸준한 인기를 유지했으나, 시청률 경쟁 심화로 인해 여러 차례 개편을 겪었다. 1993년에는 시청률 저조로 인해 방송 시간대가 토요일로 변경되었다가, 시청자들의 항의로 평일 시간대로 복귀하기도 했다. 이 시기에는 다양한 뽀미언니와 새로운 캐릭터들이 등장하며 변화를 시도했다.

2000년대 들어 케이블TV와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시청률이 하락세를 보였다. 2007년 프로그램 제목을 《뽀뽀뽀 아이 조아》로 변경하고 새로운 포맷을 도입했으나, 큰 반향을 얻지 못했다. 2013년 8월 7일, 32년간의 방송을 마치고 종영되었다.

2. 1. 프로그램 시작과 초기 (1981년 ~ 1980년대)

1981년 5월 25일, MBC에서 첫 방송을 시작했다. 초대 뽀미언니 왕영은을 비롯하여, 뽀식이 이용식, 뽀병이 김병조 등 다양한 캐릭터들이 등장하여 인기를 얻었다. 초기에는 짧은 분량으로 방송되었으나, 점차 방송 시간이 늘어나고 다양한 코너들이 추가되었다.

2. 2. 전성기와 변화 (1990년대)

1990년대에도 뽀뽀뽀는 꾸준한 인기를 유지했으나, 시청률 경쟁 심화로 인해 여러 차례 개편을 겪었다. 1993년에는 시청률 저조로 인해 방송 시간대가 토요일로 변경되었다가, 시청자들의 항의로 평일 시간대로 복귀하기도 했다. 이 시기에는 다양한 뽀미언니와 새로운 캐릭터들이 등장하며 변화를 시도했다.

2. 3. 침체기와 종영 (2000년대 ~ 2013년)

2000년대 들어 케이블TV와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시청률이 하락세를 보였다. 2007년 프로그램 제목을 《뽀뽀뽀 아이 조아》로 변경하고 새로운 포맷을 도입했으나, 큰 반향을 얻지 못했다. 2013년 8월 7일, 32년간의 방송을 마치고 종영되었다.

3. 역대 뽀미언니

역대이름기간직업비고
1대왕영은1981년 5월~1984년방송인최장
2대길은정1984년~1985년 10월가수2005년 1월 7일 사망
3대강석란1985년 11월 ~1986년 4월탤런트
4대신현숙[5]1986년 5월 ~ 1988년 6월아나운서
5대김은주1988년 7월~1989년 5월아나운서
6대최유라1990년 5월 ~ 1990년 11월배우
7대장서희1990년 11월 ~ 1991년 4월탤런트
8대황선숙1991년 5월~ 1992년 3월아나운서
9대강연희1992년 4월 ~ 1993년 10월MC
10대김혜영1993년 10월 ~ 1994년 10월탤런트
11대이의정1994년 10월 ~ 1996년 3월탤런트
12대정윤1996년 3월 ~ 1996년 10월탤런트
13대김윤정1996년 10월 ~ 1997년 3월탤런트
14대김수정1997년 3월 ~ 1998년 3월탤런트
15대조여정1998년 3월 ~ 1998년 11월배우최연소(17세)
16대임진아1998년 11월 ~ 1999년 6월배우
17대김혜연1999년 6월 30일~ 2001년 4월 23일VJ
18대하은애2001년 4월 23일 ~ 2002년 4월 8일배우
19대김경화2002년 4월 8일 ~ 2004년 5월아나운서
20대김지아2004년 5월 ~ 2006년 7월 14일배우
21대최정원2007년 4월 ~ 2008년 1월뮤지컬 배우최연장(38세)
22대이하정[6]2008년 1월 ~ 2009년 5월아나운서
23대나경은[7]2009년 5월 25일 ~ 2010년 4월아나운서[8]
2011년 1월 ~ 2012년 10월 24일아나운서
임시양승은2010년 4월 ~ 2010년 12월아나운서임시 뽀미언니
24대강다솜2012년 10월 29일 ~ 2013년 8월 7일아나운서
뽀뽀뽀 폐지 이후 임시윤보미2013년 8월 7일~ 뽀미언니 살리기 운동 전개 이후유튜버


3. 1. 역대 뽀미언니 목록

역대이름기간직업비고
1대왕영은1981년 5월~1984년방송인최장
2대길은정1984년~1985년 10월가수2005년 1월 7일 사망
3대강석란1985년 11월 ~1986년 4월탤런트
4대신현숙[5]1986년 5월 ~ 1988년 6월아나운서
5대김은주1988년 7월~1989년 5월
6대최유라1990년 5월 ~ 1990년 11월배우
7대장서희1990년 11월 ~ 1991년 4월탤런트
8대황선숙1991년 5월~ 1992년 3월아나운서
9대강연희1992년 4월 ~ 1993년 10월MC
10대김혜영1993년 10월 ~ 1994년 10월탤런트
11대이의정1994년 10월 ~ 1996년 3월
12대정윤1996년 3월 ~ 1996년 10월
13대김윤정1996년 10월 ~ 1997년 3월
14대김수정1997년 3월 ~ 1998년 3월
15대조여정1998년 3월 ~ 1998년 11월배우최연소(17세)
16대임진아1998년 11월 ~ 1999년 6월
17대김혜연1999년 6월 30일~ 2001년 4월 23일VJ
18대하은애2001년 4월 23일 ~ 2002년 4월 8일배우
19대김경화2002년 4월 8일 ~ 2004년 5월아나운서
20대김지아2004년 5월 ~ 2006년 7월 14일배우
21대최정원2007년 4월 ~ 2008년 1월뮤지컬 배우최연장(38세)
22대이하정[6]2008년 1월 ~ 2009년 5월아나운서
23대나경은[7]2009년 5월 25일 ~ 2010년 4월[8]
2011년 1월 ~ 2012년 10월 24일
임시양승은2010년 4월 ~ 2010년 12월임시 뽀미언니
24대강다솜2012년 10월 29일 ~ 2013년 8월 7일
뽀뽀뽀 폐지 이후 임시윤보미2013년 8월 7일~ 뽀미언니 살리기 운동 전개 이후유튜버


4. 주요 캐릭터

뽀뽀뽀의 주요 캐릭터는 다음과 같다.


  • 뽀식이 (이용식)
  • 뽀병이 (김병조)
  • 뽀동이
  • 뽀숙이
  • 뽀뽀뽀 박사
  • 뽀영이
  • 또또맨
  • 호이 홍
  • 치카포카맨
  • 치카치카 박사
  • 미스터 세븐
  • 뿅뿅이
  • 뽀야
  • 깡지
  • 꽁지
  • 개똥이
  • 불난코
  • 삐삐
  • 덜렁이
  • 촐랑이
  • 서둘러
  • 우아해 아줌마
  • 동그리동
  • 뽀이뽀
  • 로봇맨
  • 곰돌이
  • 쌍라이트
  • 우당당
  • 주머니 할머니
  • 된장 할머니
  • 고추장 할아버지
  • 뽀상이
  • 뽀돌이
  • 바비
  • 미씨

4. 1. 주요 캐릭터 목록

뽀뽀뽀의 주요 캐릭터는 다음과 같다.

  • 뽀식이 (이용식)
  • 뽀병이 (김병조)
  • 뽀동이
  • 뽀숙이
  • 뽀뽀뽀 박사
  • 뽀영이
  • 또또맨
  • 호이 홍
  • 치카포카맨
  • 치카치카 박사
  • 미스터 세븐
  • 뿅뿅이
  • 뽀야
  • 깡지
  • 꽁지
  • 개똥이
  • 불난코
  • 삐삐
  • 덜렁이
  • 촐랑이
  • 서둘러
  • 우아해 아줌마
  • 동그리동
  • 뽀이뽀
  • 로봇맨
  • 곰돌이
  • 쌍라이트
  • 우당당
  • 주머니 할머니
  • 된장 할머니
  • 고추장 할아버지
  • 뽀상이
  • 뽀돌이
  • 바비
  • 미씨

5. 출연진

뽀뽀뽀에는 고정 출연진 외에도 이용식, 김병조, 조동희, 이혜민, 김혜영, 김학도, 홍인규, 태진아, 정성호, 서경석, 문단열, 김현철, 홍석천, 이경애, 신동, 황제성, 이병준, 조춘, 김유행, 로버트 할리, 이윤석, 홍기훈, 사미자, 최형만, 이상우, 장미화, 주슬기, 노희지, 인병국, 곽정욱, 이인성, 이영유 등 다양한 게스트들이 출연했다.

5. 1. 주요 출연진 목록

6. 방송 정보

6. 1. 방송 일정

{

방송 채널방송 기간방송 시간방송 분량
MBC TV
1981년 5월 25일월요일 아침 9시 35분 ~ 9시 50분15분
1981년 5월 26일 ~ 1981년 6월 2일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토요일, 월요일, 화요일 아침 9시 20분 ~ 9시 35분
1981년 6월 3일 ~ 1981년 6월 20일수요일 ~ 토요일 아침 8시 ~ 8시 20분20분
1981년 6월 22일 ~ 1981년 6월 23일월요일 ~ 화요일 아침 7시 50분 ~ 8시10분
1981년 6월 24일 ~ 1981년 10월 3일매주 월요일 ~ 토요일 아침 7시 50분 ~ 8시 10분20분
1995년 4월 17일 ~ 1997년 3월 1일
1997년 10월 20일 ~ 2000년 5월 13일
1981년 10월 5일 ~ 1982년 9월 7일매주 월요일 ~ 토요일 아침 7시 50분 ~ 8시 15분25분
1982년 9월 8일 ~ 1982년 10월 16일매주 월요일 ~ 토요일 아침 8시 ~ 8시 25분
1982년 10월 18일 ~ 1984년 4월 7일매주 월요일 ~ 토요일 아침 7시 50분 ~ 8시 15분
1984년 4월 9일 ~ 1987년 4월 4일매주 월요일 ~ 토요일 아침 7시 45분 ~ 8시 10분
1987년 4월 6일 ~ 1989년 4월 15일매주 월요일 ~ 토요일 아침 7시 40분 ~ 8시 5분
1989년 4월 17일 ~ 1989년 9월 2일매주 월요일 ~ 토요일 아침 8시 35분 ~ 9시
1989년 9월 4일 ~ 1991년 4월 20일매주 월요일 ~ 토요일 아침 7시 40분 ~ 8시 5분
1991년 4월 22일 ~ 1992년 10월 9일매주 월요일 ~ 금요일 아침 8시 ~ 8시 20분20분
1991년 4월 27일 ~ 1991년 10월 5일매주 토요일 아침 7시 40분 ~ 8시
1992년 10월 12일 ~ 1992년 11월 7일매주 월요일 ~ 토요일 아침 7시 40분 ~ 8시 5분25분
1992년 11월 9일 ~ 1993년 4월 10일[4]매주 월요일 ~ 토요일 아침 8시 ~ 8시 20분20분
1993년 10월 16일토요일 아침 7시 50분 ~ 8시 40분50분
1993년 10월 18일 ~ 1995년 4월 15일매주 월요일 ~ 토요일 아침 7시 40분 ~ 8시20분
1997년 3월 3일 ~ 1997년 5월 24일매주 월요일 ~ 토요일 아침 7시 30분 ~ 7시 50분
1997년 5월 26일 ~ 1997년 10월 18일매주 월요일 ~ 토요일 아침 7시 40분 ~ 8시
2000년 5월 15일 ~ 2000년 10월 27일매주 월요일 ~ 금요일 오후 4시 10분 ~ 4시 30분
2000년 10월 30일 ~ 2001년 12월 21일매주 월요일 ~ 금요일 오후 4시 5분 ~ 4시 30분25분
2001년 12월 24일 ~ 2006년 10월 31일매주 월요일 ~ 수요일 오후 4시 5분 ~ 4시 30분
2006년 11월 6일 ~ 2010년 10월 27일매주 월요일 ~ 수요일 오후 4시 ~ 4시 30분30분
2011년 5월 30일 ~ 2013년 8월 7일
2010년 11월 1일 ~ 2011년 5월 25일매주 월요일 ~ 수요일 오후 4시 10분 ~ 4시 40분30분


6. 2. 주제가

작사/작곡/편곡은 이휘제가 맡았고[9], 노래는 어린이 여러 명이 불렀다.

7. 시청률

1980년대에 높은 시청률 인기를 얻었으나, 1990년대 초반에 하락되어, 1993년 시청률 저조로 개편을 맞아, 평일이 아닌 토요일 시간대로 축소됐으나, 시청자 항의로 평일 시간대로 원상 복구됐다. 1990년대 중반 당시에 시청률 10%이었으며, 1990년대 후반 이후 케이블TV와 인터넷 가입자 수 증가로 시청률이 한 자릿수까지 크게 떨어져 겨우 최하위권을 모면하는 수준이었다.

시청률 조사회사인 TNmS와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매주 일요일 생방송 시청률 0%대를 최하위 집계한 것이다.

7. 1. 1980년대 ~ 1990년대 초반

1980년대에 높은 시청률로 인기를 얻었으나, 1990년대 초반에 하락하였다. 1993년 시청률 저조로 개편을 맞아, 평일이 아닌 토요일 시간대로 축소됐으나, 시청자 항의로 평일 시간대로 원상 복구됐다. 1990년대 중반 당시에는 시청률 10%이었으며, 1990년대 후반 이후 케이블TV와 인터넷 가입자 수 증가로 시청률이 한 자릿수까지 크게 떨어져 겨우 최하위권을 면하는 수준이었다.

시청률 조사회사인 TNmS와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매주 일요일 생방송 시청률 0%대를 최하위로 집계하였다.

7. 2. 1990년대 중반 ~ 후반

1980년대에 높은 시청률 인기를 얻었으나, 1990년대 초반에 하락되어, 1993년 시청률 저조로 개편을 맞아, 평일이 아닌 토요일 시간대로 축소됐으나, 시청자 항의로 평일 시간대로 원상 복구됐다. 1990년대 중반 당시에는 10%대의 시청률을 유지했다.

7. 3. 2000년대 이후

1980년대에 높은 시청률 인기를 얻었으나, 1990년대 초반에 하락되어, 1993년 시청률 저조로 개편을 맞아, 평일이 아닌 토요일 시간대로 축소됐으나, 시청자 항의로 평일 시간대로 원상 복구됐다. 1990년대 중반 당시에 시청률 10%이었으며, 1990년대 후반 이후 케이블TV와 인터넷 가입자 수 증가로 시청률이 한 자릿수까지 크게 떨어져 겨우 최하위권을 모면하는 수준이었다.

시청률 조사회사인 TNmS와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매주 일요일 생방송 시청률 0%대를 최하위 집계한 것이다.

8. 배출한 스타

고수영은 1983년부터 1992년까지 뽀뽀뽀에 출연했다. 김하영은 1984년부터 1985년까지 뽀뽀뽀에 출연했다. 류덕환은 1992년부터 1993년까지, 노희지주슬기는 1993년부터 1994년까지 뽀뽀뽀에 출연했다. 권지용(지드래곤)은 1994년에 뽀뽀뽀에 출연했다. 신세경은 1995년부터 1996년까지, 이세영은 1997년부터 1998년까지 뽀뽀뽀에 출연했다. 김새론은 2005년부터 2006년까지 뽀뽀뽀에 출연했다. 이 외에도 이병준, 남다름, 김민우(2004.04.01)가 뽀뽀뽀를 통해 이름을 알렸다.

9. 평가 및 영향

9. 1. 긍정적 평가

9. 2. 부정적 평가

10. 기타

2007년 프로그램 제목을 《뽀뽀뽀 아이 조아》로 변경했다. 뽀뽀뽀와 관련된 기타 정보로는 수상 경력, 관련 상품, 행사 등이 있다. 2013년 종영 이후, 유튜브 채널을 통해 뽀미언니 살리기 운동이 전개되기도 했다.

참조

[1] 웹사이트 [뽀뽀뽀 아이조아]7754회로 32년 만에 종료 http://www.medicalwo[...] 2013-08-05
[2] 논문 Ideologies in Korean Children's TV: A Culture in Transition in a Postmodern Period 1999-03
[3] 논문 The broadcasting audience movement in Korea 2001
[4] 텍스트
[5] 위키데이터
[6] 위키데이터
[7] 위키데이터
[8] 텍스트
[9] 텍스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